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뇌를 바꾸는 방법. 뇌연구

by 돈의힘62 2023. 6. 23.
반응형

케리최의 유튜브를 보고 적어봅니다.

잊지 않고 기억하려면 글을 써야 하기 때문에 포스팅합니다.

뇌를 바꾸지는 못하겠지만 내 뇌와 잠재의식을 똑똑하게 일하게 하는 방법은  있습니다.

그 방법이 끌어당김에 법칙입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 생각함과 동시에 걱정부터 생기게 됩니다. 

비전보드를 만드는 방법이 있다.

공명이 법칙 주파수가 일치하면 큰 힘이 생긴다. 기적과 같은 일이 이루어진다.

아주 확고한 생각이 있다면 소망하는 것들을 반드시 이룰 수 있다.

끌어당김에 법칙은 이 생각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공명 현상 즉 생각에 따라 움직이는 주파수의 이동이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이걸 이룰지 지금은 몰라도 어떤 방법으로든 반드시 그 방법을 찾아 이루고야 말겠어~

그 방법 자체에는 의심을 하지 않았고 걱정하지 않았다.

즉시 행동하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안되면 다른 방법으로 반드시 이루어질 것입니다.

우리 두뇌가 한치에 의심이 없는 상태에 독=달하는 데에 방해하는 행동이 또 있습니다.

바로 초초함입니다

많은 분들이 잡재의 식을 대할 때 똑같은 행동을 보입니다.

잠재의식에 어떤 것을 입력을 해놓고 '너 도대체 언제 이루어지니? ' 하고 금바 초초해져 버리죠?

그런데 왜 이러한 초초한 감정이 일어날까요. 우리는 새로운 생각을 하고 죄에 새로운 지시를 할 때마다

뇌에서는 전혀 다른 진동이 일어나기 시작합니다. 우리는 서로 모순되는 두 가지 내용을 인지했을 때 

의식적이든 무의식 적이든 불쾌해지는 감정을 보내죠 왜냐하면 그 불쾌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쪽을 바꾸는 상태이기 때문이에요. 새로운 생각을 할 때 새로운 신경회로가 형성되는 한편 기존의 신경회로는 위축되게 됩니다.

기존부터 있었던 신경회로가 새롭게 형성된 신경회로를 불안이나 스트레스로 인식합니다. 그래서 이 초초한 감정은 당연한 감정이긴 해요. 초초한 감정이 문제는 아니에요. 그런데 초초함을 문제라고 생각하는 게 문제이죠.초초함이 느껴지면 그대로 즐겨 보세요. 제대로 가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초초해서 억지로 강제로 한다는 생각은 결코 물질적인 형태로 발전할 수 없습니다.생각에 씨앗을 심은 뒤에는 싹이 뿌리를 내리고 성장에 필요한 자원을 찾을 수 있도록 시간을 주어야 한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은 행동력 끈기라고 합니다.잠재의식이 스스로 일할 수 있도록 너무 보채지 말고 내버려 둘 수 있도록 충분히 끈기를 가지라고 합니다.생각만 하면 이루어지는 것이 끌어당김의 법칙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이 생각이 습관이 되게 만들고  이 습관이 잠재 의식에 뿌리를 내릴 때까지 끈기 있게 입력해야지만잠재의식이 자동화가 일어납니다.그러면 잠재의식에 수십 번 우천번 입력이 되어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게 만듭니다.

목표를 백번씩 쓰는 것과 동일한 방법입니다.

걱정을 툭하면 습관처럼 한다

이렇게 뇌에 입력한 목표가 실현이 되려면 한치에 의심도 없어야 합니다.

그런데 나도 모르게 걱정이 스멀스멀 올라오는 경우가 있어요.

그럴 때 두뇌를 조종하는 방법 힌트입니다.

목표에 확신 수치 * 이뤘을 때의 감정 = 현실화

이 모든 것을 반대로 해야 합니다.

감정은 온몸에 전율이 느껴지도록 그 목표를 이루었을 때의 그 감정 상태를 두는 것이에요. 목표를 이룬 그 순간에 느껴지는

그 강력한 긍정의 감정을 입력시키면 됩니다.

그리고 이것을 습관이 될 때까지 반복해야 합니다.

또 반복해야 합니다.

우리 뇌는 뉴런과 뉴런 사에에 시냅스라는 것이 있는데요. 한 뉴런에서 다른 뉴런으로 전달하는 연결 통로가 바로 이 시냅스라는 것입니다.

이 시냅스를 통해 뉴런들이 빠르게 이동하마치 무성한 숲을 걷는 것처럼 여러 번 목표와 감정을 뇌에 주입하고

강력한 감정이 뉴런을 활발하게 움직이게 만들어줘야 합니다. 그러면 이런 뉴런이 활발하게 움직이며 만든 그 시닙 스라는

통로의 크기가 넑어지면서 점점 뉴런이 걷기 편하게 만들어지는 것이죠. 이것을 반복하다 보면 오솔길 같던 시냅스는 고속도로가 되는 것이고 뉴런과 뉴런 사이의 상호 이동이 아주 빨라질 수 있을 때 우리는 끌어당김을 아주 빠르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반응형